한국 수출 피크쳤나?

💡2024년 11월 수출입 동향 보고서가 발표되었는데,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4% 증가에 그쳤습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기업의 주가 부진에 이어, 수출 증가율이 크게 떨어지다 보니 ‘수출 피크’ 혹은 ‘경기 정점’ 경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수출 부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래 <표>…

한국 증시의 성과 부진, 짠물 배당 때문!

2024년도 1/6 밖에 남지 않은 지금, 한국 증시의 부진이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 해 연말에 비해 10월까지 각국의 주가 상승률을 비교해보면, 미국이 19.62% 일본이 14.6% 그리고 신흥시장이 1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반면 한국 KOSPI는 -3.7% 그리고 MSCI Korea 지수는 -7.2%를 기록해 국장에 투자한 분들의…

역사상 최대 규모 경상흑자에도 환율이 상승하는 이유는?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8월 국제수지 동향”자료를 보면, 1~8월 무려 536.0억 달러의 경상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달러에 대한 원화환율은 다시 1350원 선을 넘어 연 고점을 위협하는 중입니다. 대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요? 오늘은 이 의문을 풀어보고자 합니다. 글로벌 외환시장 하루 거래 규모, 7.5조 달러! 막대한…

2024년 국민연금 성과 중간 점검 – 순항 중!

💡9월 27일 발표된 국민연금의 2024년 7월 운용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연초 이후 9.88%의 성과를 기록해 운용 자산 규모가 1,150조원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떻게 국민연금이 놀라운 성과를 이어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실업률 상승, 빅컷을 이끌다!  최근 국민연금 운용자산의 상승세가 놀랍습니다. 2019년 737조원에서 2021년 949조원, 2023년 1,036조원을 거쳐, 2024년 7월에는…

연준은 왜 빅컷을 단행했나?

💡9월 18일 끝난 연준의 정례 금리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기존 5.50~5.25%에서 5.00~4.75%로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필자를 포함한 상당수 경제 분석가들은 0.25% 포인트의 금리인하를 예상했지만, 연준의 금리인하 폭은 이를 상회한 0.50% 포인트에 이르렀습니다. 연준이 빅컷을 단행한 이유와 경제 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실업률 상승,…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파월 의장은 어떤 통계를 보여주었나?

💡지난 8월 22~24일 열린 연준의 정례 컨퍼런스(이하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파월 의장은 몇 가지의 그래프를 통해 미국 경제의 현재 상황을 보여주었습니다. 오늘은 이 그래프를 통해,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짚어 보고자 합니다. 인플레는 이제 후순위! 제일 먼저 보여 준 [그림]은 근원 개인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인데, 연준의 목표수준(2%)에…

중국 제조업 보고서 – 적자기업 비율, 30% 넘어서!

💡중국 정부는 ‘신생산력’이라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전기차/태양광/이차전지 등 핵심 분야의 기업들에게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중국의 생산 능력이 끝없이 늘어나는 가운데, ‘중국의 저가 공세’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 경쟁업체들에게 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세계적인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China’s manufacturers are going broke”라는 기사를 통해…

한국 5060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오늘은 한국은행이 발간한 보고서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연령 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에 대해 이야기할까 합니다. 저는 한국의 58년 개띠(=1차 베이비부머)가 매우 부유한 세대라고 봅니다. 그 이유는 고등교육 기회가 열려 있었던 데다, 80년대 중후반의 '3저호황' 때 직장생활을 시작해 소득 및 자산을 크게 늘릴 기회를 잡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