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인들, 예전보다 건강하고 덜 스트레스 받아
📘한국 통계청이 최근 발간한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 보고서는 몇 가지 흥미로운 진실을 보여줍니다. 우리나라 고령자들은 예전에 비해 훨씬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으며, 자신이 더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들이 이런 판단을 내린 근거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65~74세 인구는 37.6% 뿐! 한국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한국 통계청이 최근 발간한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 보고서는 몇 가지 흥미로운 진실을 보여줍니다. 우리나라 고령자들은 예전에 비해 훨씬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으며, 자신이 더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들이 이런 판단을 내린 근거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65~74세 인구는 37.6% 뿐! 한국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최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6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0.2% 그리고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3.0% 상승해 시장 참가자들의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Core CPI)도 전월에 비해 0.2% 그리고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8% 상승에 그쳤습니다. 미국의 인플레 압력이 급격히 약화된…
한국 정부는 주택시장이 과열될 때마다 투기과열지구를 신규 지정하거나, 심지어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선포하는 등 규제를 강화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발간된 한국은행의 보고서(거시건전성 정책이 우리나라 가구의 부채 및 자산 불평등에 미친 영향)는 그 효과가 매우 의심스럽다고 지적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누가 주도 하나? 부동산…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되는 미국 고용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지난 7월 7일(금) 발표된 "2023년 6월 고용 보고서"는 미국 노동시장이 매우 뜨거운 상태임을 보여줌으로써, 시장 금리의 강한 상승을 유발했습니다. 보다 자세히 고용 보고서의 주요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발간된 블룸버그의 특집 기사(China’s Economic Woes Are Multiplying — and Xi Jinping Has No Easy Fix)는 중국경제가 매우 어려운 지경에 빠져든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합니다. 강력한 디플레 압력이 발생한 가운데 정책당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니, 지난 30년에 걸친 일본형 장기불황의 늪에 빠져들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더욱 자세한…
인플레이션 논쟁에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유럽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 경제는 인플레로 고통 받고 있고, 특히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이른바 '근원 인플레'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어떤 정책을 펼쳐야 하는지를 둘러싼 경제학계의 논쟁을 다룬 이코노미스트의 기사(Economists draw swords over how to fix inflation)를…
최근 미국 증시는 강력한 랠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4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상승장이 2023년 상반기에 펼쳐졌을 정도죠. 그런데, 이 흐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보고서(End of an Era: The Coming Long-Run Slowdown in Corporate Profit Growth and Stock Returns)가 미 연준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를 쓴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기업들의 이익은 감세와…
💡최근 한국은행은 매우 흥미로운 보고서를 한편 발간 했습니다. 제목(Changes in Inflation Dynamics in Korea: Global Factor, Country Factor, and their Propagation) 그대로, 2022년부터 발생한 인플레의 원인이 내부에 있는지 아니면 외부 충격 때문인지를 분석한 것입니다. 왜 한국이 미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기준 금리를 유지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라 생각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