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은 대내외금리차 확대 때문?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급등의 원인을 살펴볼까 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중국의 금리 인하로 촉발된 달러/위안 환율 상승이 가장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금리 인하가 계속될 경우, 한국…

2023년 7월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 안정 국면으로?

📘최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7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0.2% 그리고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3.2% 상승해 시장 참가자들의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Core CPI)도 전월에 비해 0.2% 그리고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7% 상승에 그쳤습니다. 미국의 인플레 압력 약화된 원인에…

한국 인플레는 기업의 탐욕 때문인가?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 한국은행이 발간한 보고서,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주요국과의 비교”을 소개합니다. 한국은행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과 유럽과 달리, 한국에서 발생한 인플레가 ‘기업 이윤 추구’에서 발생한 징후를 찾기 어렵다고 이야기 합니다. 한국 기업들이 가격…

2023년 7월 미국 고용 보고서 -식어가는 노동시장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되는 미국 고용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지난 8월 4일(금) 발표된 "2023년 7월 고용 보고서"는 미국 노동시장이 조금씩 식어가고 있음을 시사해, 시장금리의 하락을 유발했습니다. 실업률과 신규 취업자 수, 그리고 임금 상승률 순서로 고용…

IMF, “금융환경 우호적이지만, 근원 인플레가 문제!”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의 블로그에 실린 흥미로운 글 “Inflation Remains Risk Confronting Financial Markets”을 소개합니다. IMF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 통화정책은 이미 ‘완화’ 기조로 전환했지만, 인플레가 다시 불안한 모습을…

미국 No Landing 가능성 높아져

📘최근 발표된 미국의 2023년 2분기 성장률은 2.4%(연율 기준)를 기록하여, 시장 참가자들의 예상(1% 후반)을 크게 뛰어 넘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상이 거듭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보는 한편, 앞으로의 방향도 점쳐 보고자 합니다. <그림 1> 2019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간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 실린, 핵심 내용을 소개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2023년 세계 경제는 3.0% 성장할 것으로 예측해 4월 전망치보다 0.2% 포인트나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어떤…

중국은 왜 디플레 위험에 노출되었나?

📘최근 중국경제가 만성적인 물가 하락, 즉 디플레 위험에 노출된 것 같습니다. 2023년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제로 수준으로 떨어진 데 이어, 생산자 물가 상승률은 -5.4%를 기록 중이기 때문입니다. 중국 경제가 디플레 위험에 노출된 이유, 그리고 해결책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지난 10년 동안의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