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경에 처한 바이든의 재선 도전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세계적인 경제지, Economist에 실린 흥미로운 칼럼 “Joe Biden’s re-election bid is in trouble”을 소개할까 합니다.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바닥권에 도달하는 가운데,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불출마하기를 바라는 민주당 지지자가…

2023년 8월 미국 고용 보고서 -식어가는 노동 시장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되는 미국 고용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지난 9월 1일(금) 발표된 "2023년 8월 고용 보고서"는 실업률 상승 및 임금 상승률 둔화를 보여줌으로써, 노동 시장이 조금씩 식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림 1> 2021년…

중국 위안화, 기축통화 가능성?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발간한 흥미로운 자료 “위안화 국제화의 최근 동향”을 소개할까 합니다. 최근 중국과 인도 브라질 러시아 남아공 등 이른바 BRICS 국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그리고 아랍에미레이트 등을 추가한 BRICS+ 그룹을 출범시킴으로써 미국의…

중국은 왜 그토록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가?

최근 중국 경제는 90년대 후반 이후 가장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 같습니다. 성장률이 급락하는 가운데 실업률이 상승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위협 받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90년대 후반과 달리 중국 정책당국의 대응은 여러 면에서 의구심을 불러 일으킵니다. 과거에 그토록 뛰어난 실무관료는 다 어디로 갔고, 시진핑 주석은 왜 저런 모습을 보이는가?  이 의문에…

BRICS+ 출범, 어떤 영향 미칠까?

BRICS는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그리고 중국과 남아공의 알파벹 첫 글짜를 만들어진 조어죠. 특히 2000년대 중반 이들 국가의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이른바 브릭스 펀드 열풍이 불었죠. 그러나 이 열풍이 꺼진지 10년이 지났는데, 최근 세계적인 블록화의 움직임 속에서 이를 재건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어 소개해 봅니다.  <BRICS Bloc Grows Heft With Saudi…

2023년 잭슨홀 미팅 - 큰 충격 없이 끝나

💡미국 와이오밍주의 휴양지, 잭슨홀에서는 매년 8월 말 세계 중앙은행 관계자가 모이는 중요한 회의가 열립니다. 2022년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인플레를 잡기 위해 경제성장 둔화를 인내하겠다”고 밝혀, 금융시장을 패닉으로 몰아 넣은 바 있죠. 2023년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은 “인플레를 2% 목표치까지 낮추는 것이 연준의 임무이며 그렇게 할 것이라는 메시지는 (작년과)…

중국의 미래는 일본(Japanification)?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세계적인 경제지, Economist의 최근 칼럼(“Why China’s economy won’t be fixed”)을 소개할까 합니다. 이 칼럼의 주된 내용은 중국 당국이 연이은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데, 이는 시주석이 미국과의 군사적 대결에…

미국 주식시장의 투자 매력, 2006년 이후 최저 수준!

💡주식과 채권이라는 가장 중요한 자산에 대한 비중을 결정하는 일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통상적으로 주식에 60% 그리고 채권에 40%를 투자하는 이른바 ‘6:4’ 전략이 일반적입니다만, 주식시장이 고평가 레벨에 있을 때에는 이 전략의 유용성이 떨어질 수도 있죠. 최근 미국 투자 전문가들은 주식이 채권보다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고 경고합니다. 이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