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목표
I. 1주차 복습: “3층 연금과 노후 생활비”
- 3층 연금: 국민연금, 퇴직연금(DB/DC/IRP), 개인연금(연금저축 등)
- 노후 생활비 4대 항목:
- 1주차 숙제로, 각자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수령액(또는 적립금)과 목표 노후 생활비를 조사.
요점: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퇴직연금·개인연금을 통해 부족분을 보완해야 함.
II. 실전 사례: 직장인 B (1973년생, 자문 계약)
(예시 데이터, 일부 변형/익명화 처리)
현재 상황 요약
- 5년 뒤 은퇴 예정, 월 투자 가능액은 50-100만원 정도
- 연금 수익률이 저조하여 고민 중, 자녀가 없어 상속/증여 계획은 없음
예상 노후 요약
노후 생활비 (부부 기준)는 월 370만원 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필수 생활비: 3,100,000원
- 재량 지출: 300,000원
- 비상금: 300,000원
- 상속·증여: 0원
연금 보유 현황
연금 운용 현황
- 국민연금
- 퇴직연금(DC)
- 개인IRP
- 개인연금(연금저축신탁)
III. 노후 생활비 갭(Gap) 분석
“(국민연금 + 퇴직연금 + 개인연금) - (노후 생활비)”로 계산했을 때,
- 55세부터 63세가 될때까지 약 8년 동안 연금을 통해 부족분을 메꿔야 함.
- 63세부터 국민연금 수령 외 부족분 역시 연금을 통해 메꿔야 함
고민 사항
IV. 갭 메우기 전략
1.은퇴 전 전략
1.수익률 높이기
퇴직연금 DC형과 IRP의 수익률은 약 3%, 연금저축보험의 수익률은 약 2%인 상황
-> 간단한 프로젝션을 통해 수익률의 차이가 은퇴 시 얼마나 자금의 차이를 가져오는 지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케이스 1. 5년동안 투자수익률 7% (빨강) 투자 수익률 2% (파랑) vs 합계 비교하기>

2.은퇴 전까지 최대한 투자하기
매월 투자 가능한 금액이 50 - 100만원인 상황
-> 은퇴 전까지 매월 연금저축 50만원, IRP 25만원씩 총 75만원을 투자할 경우,
은퇴 시 얼마나 자금의 차이를 가져오는 지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케이스 2. 5년동안 연금 추납O 7% 수익률 (빨강) vs 추납X 2% (파랑) 수익률 비교하기>

-> 이를 통해 은퇴 자금이 약 85,856,587원 가량 커질 수 있습니다.
2.은퇴 후 전략
1.은퇴를 하더라도 운용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너무 당연하지만, 은퇴 이후에도 각 계좌는 계속해서 운용해야 합니다.
1.은퇴 후, 퇴직연금 DC형은 IRP로 받아 계속해서 운용

2.은퇴 후 각 계좌별로 계속해서 운용
복리 투자의 3원칙인 1)기간 2)수익률 3)금액
-> 보유 연금저축과 IRP(기존 납입분 + 퇴직연금 수령분)을 계속해서 운용하는 경우와 운용하지 않고 그냥 인출하는 경우, 얼마나 은퇴 자금 현황이 바뀌는 지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케이스 3. 은퇴 후 인출 시, 운용O (6%수익률) vs 운용X (2%수익률) 자금 현황 비교하기>

3.은퇴 후 계좌 별 수령 시기를 나누는 것도 방법
위의 2번을 보면, 특정시기 까지는 IRP에서 인출하다가 IRP가 모두 소진되고 나면 연금저축을 통해 인출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좌 별로 인출 시기를 나누는 것이 반드시 해야하는 방법은 아니지만, "복리"를 누리기 위함이라는 측면에서는 유리한데요.
은퇴 시 겨우 1.6억에 불과하던 연금저축이 IRP가 모두 소진된 시점인 약 22년 뒤,
7억이 넘는 거금이 되어 있습니다. (6% 수익률로 계속해서 운용 가정)
이렇듯,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익이 극대화되기에 계좌 별 수령 시기를 낮추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케이스 4. 은퇴 후 운용 및 인출 시 자금 현황 확인하기 (6%수익률)>

V. 결론
여기까지 내용을 한 번 요약해보겠습니다.
위 케이스를 보면, 아래 조언대로 진행하는 것과 진행하지 않는 것 사이에 괴리가 꽤 크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언 리스트
1.보유 연금 계좌의 수익률을 올리면 좋습니다.
2.보유 연금 계좌에 최대한 많은 돈을 적립하면 좋습니다.
3.은퇴 후 퇴직연금DC계좌는 IRP로 수령하면 좋습니다.
4.은퇴 후 각 연금계좌를 계속해서 운용하면 좋습니다.
물론, 해당 내용은 세금이나 혜택 등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정확한 산출값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다음 주는 각 계좌 별 특징을 통한 혜택을 알아보고, 각 연금계좌에서 수령 시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