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경기 활성화 목적으로 75조 원 규모의 자금 투입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관련 산업이 크게 흔들리는 가운데, 당국의 대응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정부는 부동산 개발업체를 포함한 민간 기업들의 유동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12월까지 4,000억 위안(약 75조 원)을 조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체 어떤 상황이기에 중국 정부가 기존의 태도를 바꾸게 되었는지,…

2022년 10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7.7%로 둔화!

최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는 금융 시장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 넣었습니다. <그림 1>에 표시된 것처럼 전월 대비 상승률이 0.4%에 그친 데다, <그림 2>에 표시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상승률이 7.7%로 둔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영향으로 미국의…

2022년 10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7.7%로 둔화!

최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는 금융 시장에 뜨거운 바람을 불어 넣었습니다. <그림 1>에 표시된 것처럼 전월 대비 상승률이 0.4%에 그친 데다, <그림 2>에 표시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상승률이 7.7%로 둔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영향으로 미국의…

IMF - 고령화가 진정한 의미의 인구폭탄!

최근 발간된 IMF의 보고서(AGING IS THE REAL POPULATION BOMB) 내용을 <그림> 위주로 간단히 소개합니다. 첫 번째 <그림>은 세계 인구와 증가율의 흐름을 보여주는데,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구증가율이 크게 떨어졌음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시 인구 증가율이 회복되고 있기에, 2050년에는 100억 명 전후에 도달할 것이라는…

Low & Lower Fertility - 출산율 하락 원인

💡최근 읽은 흥미로운 책 "Low and Lower Fertility"을 읽다 재미있었던 <그림>과 <표> 위주로 소개해 봅니다.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이 책은 홍콩과 한국 일본 네덜란드 등 세계 주요국의 출산율 추이와 출산율 하락 원인을 분석한 일종의 '논문집'이라 하겠습니다. <그림 1>…

실업률을 좌우하는 또 다른 요인, 경제활동참가율

💡지난 번 글("미국 실업률은 언제 상승할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기 여건. 정확하게는 기업들의 투자활동이 실업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이는 순환적인 요인이고 장기적인 실업률을 결정짓는 것은 경제활동참가율이라 하겠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이란, 15~64세 인구 중에서 구직의사를 가진 사람의 비율입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경제활동참가율 = (실업자 + 취업자) / (15~…

왜 선진국 대학 졸업률이 올라갔을까?

💡지난 번 올린 글 ("실업률을 좌우하는 또 다른 요인, 경제활동참가율")을 통해,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고등교육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만 해도 요즘은 대학은 물론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중이죠. <그림 1> 미국 25~34세 인구 고등교육 이수율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여러…

미국 젊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왜 떨어지기만 할까?

💡지난 번 글("왜 선진국 대학 졸업률이 올라갔을까?")에서, 정보통신 혁명이 고숙련(및 고학력) 근로자에 대한 수요를 높인 면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즉 정보통신 혁명의 수혜는 상대적으로 나이가 젊으면서 잘 교육받은 이들이 집중적으로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함정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여학생들만 대학진학률이 높아졌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