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벗어나는 미국 소매업체들의 생산기지

미국의 많은 소비업체들이 로스앤젤레스와 캘리포니아 롱비치의 항만 적체가 심해지자 선박으로 유통되는 물량을 줄이기 위해 생산기지의 일부를 중국에서 멕시코로 옮기고 있습니다. 생산 비용이 증가하지만 제때 팔지 못해 발생하는 손해를 고려하면 더 낫다는 생각입니다. 30% 증가한 생산 비용은 제품 가격의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멕시코에서의 제조 비용이 중국보다 30%나 높지만 관세가…

중국을 벗어나는 미국 소매업체들의 생산기지

미국의 많은 소비업체들이 로스앤젤레스와 캘리포니아 롱비치의 항만 적체가 심해지자 선박으로 유통되는 물량을 줄이기 위해 생산기지의 일부를 중국에서 멕시코로 옮기고 있습니다. 생산 비용이 증가하지만 제때 팔지 못해 발생하는 손해를 고려하면 더 낫다는 생각입니다. 30% 증가한 생산 비용은 제품 가격의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멕시코에서의 제조 비용이 중국보다 30%나 높지만 관세가…

경제 전망 시리즈 1 - 2023년 인플레는?

최근 한국은행은 경제전망 보고서(2022년 11월 24일)에서 2023년 우리 경제가 1.7%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한편, 소비자 물가는 3.6%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대체로 의견에 동의합니다 만, 인플레 부문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인플레 압력이 생각보다 더 약해질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거든요. 왜 이런 판단을 내리는지…

경제 전망 시리즈 1 - 2023년 인플레는?

최근 한국은행은 경제전망 보고서(2022년 11월 24일)에서 2023년 우리 경제가 1.7%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한편, 소비자 물가는 3.6%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대체로 의견에 동의합니다 만, 인플레 부문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인플레 압력이 생각보다 더 약해질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거든요. 왜 이런 판단을 내리는지…

한국은 어떻게 세계 No.1 혁신 국가가 되었나?

지난 시간 한국이 OECD 주요국 중에서 가장 총요소생산성의 향상이 가팔랐다고 말씀 드린 바 있습니다. 오늘은 생산성의 향상을 유발한 요인에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혹시 지난 번 글을 못 본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총요소 생산성 향상률 1위 국가는?한국! 총요소생산성의 향상을 이끄는 요인이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총요소생산성이란,…

총요소생산성 향상률 1위 국가는? 한국!

어떤 나라의 경쟁력이 개선되는지, 혹은 떨어지는 지 여부를 판단할 방법이 없을까요? 특허건수라던가 혹은 뛰어난 대학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느냐 등 다양한 대안이 있겠습니다만. 그 가운데에서 가장 유용한 방법은 바로 생산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생산성이란, 투입 시간 당 생산량으로 측정이 됩니다. 그런데, 시간당 생산량이 늘어난다고 해서 이게 경쟁력의 개선을 뜻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전세계 식량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세계적인 인플레가 정점을 경과했다는 반가운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옥수수와 밀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중이지만, 연어와 양고기 토마토 등 식탁에 오르는 주요 식량 가격이 연초에 비해 눈에 띄게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식량가격지수 급락 중! 아래 <그림>은 UN의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식량가격지수…

전세계 식량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세계적인 인플레가 정점을 경과했다는 반가운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옥수수와 밀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중이지만, 연어와 양고기 토마토 등 식탁에 오르는 주요 식량 가격이 연초에 비해 눈에 띄게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식량가격지수 급락 중! 아래 <그림>은 UN의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식량가격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