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경제 및 자산시장 전망

트리플 약세, 자산시장 강세로 반전될 듯 💡지난 2022년을 돌이켜보면, 2018년 이후 가장 투자하기 힘들었던 해로 기억될 것 같다. 연말이 다가오며 주식 및 채권시장이 다소 회복되었기에 망정이지, 자칫하면 부동산, 채권, 주식 등 주요 자산가격 모두가 하락세로 마감할 뻔했기 때문이다. 자산시장이 어려움을 겪게 된 원인을 살펴보는 한편, 각 시나리오별로 2023년의 변화 방향을…

현재 가장 투자하기 좋은 나라는 미국?

2021년 외국인직접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는 미국이었습니다. 미국의 지난 한 해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은 11.3%(5,060억 달러)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실시한 설문에 참여한 112개 나라의 평균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2.3%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가 상당한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관련 법을 개정해 점점 그…

경제 전망 시리즈 2 - 2023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은?

지난 시간에 2023년 우리 경제에 대해 예측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연간으로 3% 초반 전후의 상승률에 그칠 것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인플레 압력이 약화된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환율의 하락 압력이 높기 때문인데,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상승 원인은? 달러 강세! 2022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한 때…

경제 전망 시리즈 2 - 2023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은?

지난 시간에 2023년 우리 경제에 대해 예측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연간으로 3% 초반 전후의 상승률에 그칠 것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인플레 압력이 약화된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환율의 하락 압력이 높기 때문인데,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상승 원인은? 달러 강세! 2022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한 때…

가속화되는 한국의 고령화, 대처 방안은?

저출산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아래 <그림>은 한국과 전세계의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한국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속도가 매우 가팔라 약 2030년에는 전세계 생산가능인구 비율을 하회하고 이후에는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한국과 전세계의…

지금은 주식을 사야할 때일까?

CTA(Commodity Trading Advisors) 펀드들이 최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세가 예상보다 낮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주식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CTA 펀드들의 주식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데 올해 들어 처음으로 주식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그 속도가 매우 가파름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1997년 외환 위기 때 외채 현황

이번 시간에는 1997년 외환위기 전후 외채상황을 살펴볼까 합니다. 아래의 <표 7>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외채 현황인데, 참 아무 생각 없이 살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단기외채(만기 1년 미만으로 해외에서 빌린 돈)가 1992년 370억 달러가 1995년에는 787억 달러가 되고, 1996년에는 1천억 달러까지 늘어난 것을 알 수…

2022년 11월 미국 고용보고서 - 여전히 강력한 노동시장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되는 미국 고용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12월 2일 발표된 "2022년 11월 고용 보고서"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노동시장 여건이 매우 안정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고용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통화 정책 방향을 점검해보겠습니다. 📘 미국 고용보고서(The…